본문 바로가기

생산성향상

방문자를 블로그에 오래 머물게 하는 방법

모든 블로그 운영자는 블로그에 방문한 방문자를 더 오래 머물게 하는 방법을 고민하게 된다. 소셜미디어와 활발해지면서 이제 방문자들은 웹사이트의 초기 화면이나 블로그 초기화면부터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페이지로 직접 접속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. 이 때 웹트래픽 분석에서는 Bounce Rate 와 Exit Rate 을 분석하게 된다. 아래 블로그라고 설명된 부분을 웹으로 대체해도 같은 내용이다.

Bounce Rate
 

Bounce Rate vs. Exit Rate

많은 사람들이 Bounce Rate와 Exit Rate 를 정확하게 구분하지 않고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. 여기서 Bounce Rate 와 Exit Rate 에 대해서 잠깐 구분을 하고 넘어가자. Bounce Rate 는 방문자가 블로그를 방문 후 다른 페이지로 전혀 이동하지 않고 바로 빠져나가는 비율을 의미하고, Exit Rate 는 방문자가 블로그 내에서 여러 페이지를 살펴보다가 최종적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의미한다. Exit Rate 는 웹서비스에서 보통 '결제 페이지'에서 많이 발생하여 결제 페이지의 디자인을 변경하는데 많이 반영을 하였다. Exit Rate 는 전체 웹 서비스 프로세스를 개선하는데 많이 참고하는 비율이었고 최근에는 Bounce Rate 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. 다른 콘텐츠로 연결하는 장치(?)들을 콘텐츠 내에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.

 

Bounce Rate를 줄이기 위한 5가지 방법

 

간결하고 읽기 쉬운 콘텐츠

처음 방문한 페이지가 주는 첫 인상이 중요하다. 전체적인 디자인이 제일 중요하겠지만 콘텐츠 측면에서 보자면 간결하고 읽기 쉬운 내용으로 콘텐츠가 구성되는 것이 좋다. 현재 보고 있는 페이지 외에 다른 페이지에도 좋은 정보가 있을 것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으면 좋다.

 

Rounce Rate 를 계속 점검

새로 업데이트 한 페이지의 Bounce Rate 를 계속 체크하면서 디자인이나 콘텐츠 작성을 변경해 가면서 Bounce Rate 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간다. 해외 유명한 블로그 사이트의 아래쪽에 관련글 링크를 보여주는 것은 Bounce Rate 를 줄이기 위한 하나의 테크닉이다. 이때 브라우저 특성도 함께 살펴볼 수 있는데 특정 브라우저의 Bounce Rate 가 높다면 해당 브라우저에서 콘텐츠가 잘 안보일 수 있으니 확인을 해 보는 것이 좋다.

 

핵심 키워드 강조

많은 방문자들이 키워드 검색을 통해서 방문을 하고 일단 대강 본인이 원하는 내용인지 훑어 보게 되는데 콘텐츠 앞쪽에 주요 키워드를 잘 배치하고 눈에 띄게 강조를 해 주는 것이 좋다. 본문 중간 중간에도 관련 키워드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설명하고 마지막에도 역시 관련 글을 키워드로 추천해 주면 좋다. 콘텐츠 작성에는 정성과 노력이 필요하다. ^^

 

불필요한 플러그인 삭제로 로딩 시간 줄이기

Bounce Rate 가 높은 페이지는 대부분이 해당 페이지를 거의 읽지도 않고 나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. 그 중 하나가 원하는 콘텐츠가 아니기 때문이기도 하고 불필요한 플러그인들로 인해 로딩시간이 늦어서 그냥 나가는 경우도 많다. 광고를 위해 붙여 놓은 스크립트나 이것저것 위젯과 스크립트들이 많으면 아무래도 로딩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데 꼭 필요한 플러그인이 아니면 과감하게 삭제하는 것도 생각해 봐야 한다.

 

외부연결 링크의 배치

본문 내에 외부링크를 걸어야 할 경우 배치 전략이 필요하다. 본문 앞쪽이나 중간에서 유용한 외부 링크를 소개한다고 링크를 걸어두면 그 자리에서 바로 다른 사이트로 나가버리는 상황이 생긴다. Mashable 의 경우 본문 내 링크를 자사의 검색 결과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직접 외부로 링크되는 경우를 줄이는 테크닉을 쓰고 있다. 외부링크의 경우 아래에 모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.

 

마치며...

이상으로 Bounce Rate 에 대한 중요성과 Bounce Rate 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간단하게 살펴보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. 혹시라도 더 좋은 조언이 있으면 아래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~ ^^

 

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.